일상 트랜드 & 핫이슈

청년희망적금 자격 및 신청대상 (은행별 금리비교)

제라드 2022. 2. 16. 16:42

안녕하세요, 최근 주변에서 많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만은 것 같아서 청년 희망적금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2022 청년희망적금이란?>

청년희망적금은 만 19세에서 만 34세 이하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해 만들어진 상품입니다. 매월 5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적금 상품이고,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금리가 꽤 높은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달 50만 원씩 저축 했을 시 최대 36만 원의 저축 장려금도 받을 수 있습니다.

 

<2022 청년희망적금 가입대상 및 자격>

* 가입일 기준 나이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
병역이행을 한 경우, 병역이행 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 직전 과세기간 (2021년 1월~12월)의 총급여가 3,600만 원 (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2022 청년희망적금 납입한도 및 가입 기간, 가입방법>

* 납입한도 : 월 최대 50만 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연간 최대 600만 원)
* 가입기간: 총 2년 만기 적금
* 출시일: 2022년 2월 21일
* 미리 보기 서비스 신청방법: 가입하고자 하는 은행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리 보기 신청하면, 영업일 2~3일 내에 문자로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
* 가입방법: 12개 은행의 애플리케이션 및 각 은행별 영업점 창구에서 가입 가능
(국민, 농협, 우리, 신한, 기업, 하나,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 sc 제일)

 

 

<2022 청년희망적금 지원 혜택>

* 만기까지 납입하는 경우 시중 이자에 저축 장려금까지 합산
1년 차 : 월 50만 원, 연 600만 원 / 2% 저축 장려금 지금 : 12만 원
2년 차 : 월 50만 원, 연 600만 원 / 4% 저축 장려금 지금 : 24만 원
(2년 만기 적금 시 최대 36만 원의 저축 장려금 지원)

<청년희망적금금리 은행별 비교>

청년희망적금은 기본적으로 모든 은행에서 5% 이율을 동일하게 제공하고, 우대 금리는 은행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우대 금리가 높은 은행만 추려봤는데요, 농협과 국민, 신한은행이 최대 1% 로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것과를 별도로 은행별로 고객에게 주는 이벤트나 자산관리 서비스가 다름으로 본인에게 맞는 은행으로 결정해서 진행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NH 농협 
최대 연 1.0% p
12개월 이상 급여이체실적 : 0.50% p
은행에서 발급한 NH농협 개인신용·체크카드(채움) 월평균 20만 원 이상 이용실적 : 0.20% p
이 적금의 가입 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적금(주택청약 포함)을 보유하지 않았을 시 :0.30% p

* 신한은행 
최대 연 1.00%
신한 인증서(신한 Sign) 발급받은 경우 연 0.20%
머니 버스 가입하고 금융자산 1개 이상 연결한 경우 연 0.30%
소득 이체 실적(50만 원 이상 입금)이 있는 경우 연 0.50%
상품 가입 신규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적금이 없었던 경우 연 0.50%

* IBK기업은행
최대 연 0.9%
종이통장 미발행한 경우 : 연 0.3% p ※ 가입 채널(대면/비대면) 무관
당행 급여이체 실적(월 50만 원 이상)이 6개월 이상 있는 경우: 연 0.3% p
당행 신용(체크) 카드 3백만 원 이상 사용하는 경우 : 연 0.3% p

* KB국민은행 
 최대 연 1.0% p
급여이체 우대이율(연 0.5% p) - 신규일이 포함된 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급여이체실적 월 합산 금액 50만 원 이상"인 월이 6개월 이상인 경우
자동이체 우대이율(연 0.3% p) 신규일이 포함된 월부터 만기 전전월까지 자동이체 등 창구 이외의 채널을 이용하여 KB국민은행 입출금통장에서 적금으로 납입된 월이 6개월 이상인 경우
첫 거래 우대이율(연 0.5% p) 신규일 기준 예적금 상품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
(단, 청약 관련 상품 제외)

* 우리은행 
최대 0.7% p 
아래 조건 중 한 가지 이상 충족 시 연 0.5% p
(1) 신규일 기준 우리은행 계좌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2)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예·적금(입출금 제외) 및 주택청약 상품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
(3)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를 통하여 우리 카드(신용/체크카드 포함) 결제 이력 없는 고객이 이 적금 가입 후 6개월 이상 우리 카드 결제실적을 보유한 경우
(4) 직전 1년간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급여이체 한 이력이 없는 고객이 적금 가입 후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6개월 이상 급여 이체한 경우
2022년 03월 31일까지 이 적금 가입 시 : 연 0.2% p

 


하기 사이트는 청년희망적금 우대 금리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다른 은행들도 함께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 링크 남겨봅니다.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young.php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portal.kfb.or.kr

한도 금액 자체가 많지 않아 보상 이율이 적으면 적다고 할 수도 있는데요, 목돈이 많이 없는 사회 초년생 입장에선 돈 모으기 좋은 상품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요즘 같은 초 저금리 시대에 연 6% (기본금리+우대금리)에 저축 장려금까지 받을 수 있는 상품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죠. 자격 조건이 되시는 분들은 꼭 가입하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