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허리디스크 관련 정보

허리디스크 MRI 영상 보는 방법

제라드 2022. 1. 3. 01:00

 극심한 허리 통증을 겪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MRI 촬영을 경험해 보셨을 것입니다. 저도 20대 초반부터 허리 통증과 싸워왔기 때문에 MRI 촬영을 여러 번 해보았습니다. 작년에 심한 허리디스크를 겪고, 이것저것 공부해보며 저도 얼마 전에야 MRI 보는 법을 대충이라도 알게 되었습니다. MRI 촬영 후 보통 CD로 다 저장해 놓는데 사진들을 봐도 잘 이해가 안 되죠. 오늘은 간단하게나마 MRI 확인하는 법을 공유해 볼까 합니다.

 

1. 척추의 구조

 

 일단 MRI를 확인하기 전에 인간의 척추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제가 허리디스크 일기에 공유했던 내용을 보고 오시면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우리 척추는 25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목을 지탱하는 경추뼈 7개, 몸을 지탱하는 흉추 뼈 12개, 허리를 지탱하는 요추뼈 5개 그리고 골반뼈인 천추와 꼬리뼈인 미추를 합쳐 하나의 뼈로 보아 총 25개입니다. 이 뼈와 뼈 사이에는 충격의 흡수와 쿠션 역할을 해주기 위해 추간판 (디스크)라는 것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Lumbar (요추)의 앞자인 L을 따서 5개의 뼈를 L1~L5로 표기합니다.

 

 

허리디스크 일기 [1]

살면서 누구나 허리 통증 한 번쯤은 겪어 봤을 것이다. 그냥 한 번 삐끗한 염좌일 수도 있고, 우리가 흔히 디스크라고 부르는 추간판 탈출증일 수도 있다. 허리 통증이라는 건 워낙 자주, 그리고

with-all.tistory.com

 

 

2. MRI 측면도 보는 방법

 

 일단 MRI를 보면 같은 부위라도 굉장히 많은 사진이 있습니다. 각도에 따라서 보이지 않던 부위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죠. 자세히 들어가면 각 부위와 위치를 설명해야 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데로 간단하게 어느 부위에 문제가 있어서 아픈 것인지 알 수 있도록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MRI 촬영 사진은 모두 제가 작년에 찍은 것을 사용했습니다.

 

T1 측면도

 MRI 영상 안에는 T1과 T2라는 영상으로 나누어집니다. T1 영상은 T2영상보다는 단면적인 느낌이 듭니다. T1영상은 뼈의 부종이나 감염과 척추 골절에 따른 급성과 오래된 압박 골절 여부를 감별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척수 종양의 종류를 더 정확하게 구분해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T1 영상으로도 L4-L5 디스크 (추간판) 부위에 탈출이 있어서 튀어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2 츨면도

 

 T2 영상은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나 주변의 인대나 관절 근육과 같은 연부조직 들과 신경을 더 뚜렷하게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통 MRI상 디스크 탈출 확진을 내릴 때는 T2 측면도를 확인한다고 보면 됩니다. 위 그림에서 쉽게 볼 수 있듯 T2에서는 확인하기 힘들었던 정상적인 디스크와 퇴행이 이루어져 검게 변한 블랙 디스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L2-L3 사이에 있는 디스크는 척추의 공간도 넓고 하얗게 정상적인 디스크 모양을 하고 있지만, 디스크 탈출이 있고 퇴행이 있는 L4-L5 요추는 뼈 사이 간격이 많이 좁아져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디스크와 뼈 사이에 검은 라인 같은 것이 종판인데 종판의 손상이나 멍든 뼈 등도 확인 가능합니다. 참고로 저는 현재 통증을 유발하진 않지만 L1-L2 사이의 디스크도 좋지 않은 편입니다.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듯 뼈와 뼈 사이 간격도 좁고 퇴화가 진행됐으며 어느 정도 돌출도 보입니다.

 

 그리고 T2 영상을 통해서 마미총이라는 말초신경들이 압박을 받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추 2번 (L2)부터 꼬리뼈까지 척수의 신경들이 꼭 말총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마미총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검은색 실 같이 밑으로 쭉쭉 뻗어있는 라인이 보이시나요? 저게 바로 마미총입니다. T1영상과 같이 L4-L5 디스크에 탈출이 생겼고, 척 수낭을 압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척수 내 말단부에 있는 전체 마미 신경을 직접적으로 눌리게 되면서 생기는 것을 마미총 압박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마미총이 심한 압박을 받게 되면 다리에 힘 빠짐, 대소변 장애, 항문 감각장애 등과 같은 신경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신경이 손상되면 쉽게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48시간 이내 수술적 조치를 해야 합니다.

 

 

3. MRI 단면도 보는 방법

 

 위 사진은 L4-L5 요추 MRI T2 영상 단면 이미지입니다. 말 그대로 탈출된 4 번호 5번 사이의 디스크를 단면으로 자른 영상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디스크 수핵과 섬유륜 조직을 확인할 수 있고, 돌출이나 탈출된 디스크로 인해 척 수낭을 기계적으로 압박하는지 또한 다리 쪽으로 내려가는 신경공을 좁게 많드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디스크 단면이라면 척추 신경낭 부분이 하얀 역삼각형 모양인데 디스크 탈출로 인해 한쪽면이 압박받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추간판 탈출 부위별 방사통 위치

 

출처: https://orthopaedia.com/

 디스크가 섬유륜을 찢고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하면 신경근에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며 염증이 생기고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다리 쪽으로 뻗치는 방사통이 생기게 됩니다. 위 사진은 특정 부위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하는 통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위 사진에 나타난 것과 같이 특정한 곳에 찌르는듯한 방사통이 있다면 어느 부위에 문제가 있는지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